우리나라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주변국 중 '중국'이 있다.
현재 리오프닝(경제활동 재개)에도 불구하고 경기 둔화와 디플레이션으로 경제가 나쁜 상황이다.
과연 언제쯤 회복이 될 수 있을지 지켜봐야 한다.
문제가 뭐지?
지난 6월 청년실업률이 사상 최고치(21.3%)를 기록했던 중국이 7월에 통계를 아예 공개하지 않을 것으로 발표했다.
15일 단기 정책금리인 7일물 역환매조건부채권(역레포) 금리를 1.8%로 0.1%포인트 인하한다고 발표했다.
또 1년 만기 중기유동성지원창구(MLF) 대출 금리도 2.5%로 0.15%포인트 낮췄다
왜 이런 일이 벌어졌지?
대졸자들이 취업시장에 나오는 7월 청년실업률은 6월보다 더 악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었던 만큼 중국 통계당국이 의도적으로 공개를 중단한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.
인민은행이 지난 6월에 이어 두 달 만에 다시 기준금리 인하에 나선 것은 최근 중국 주요 경제지표가 빠르게 악화하고 있기 때문이다. 리오프닝(경제활동 재개)에도 불구하고 실물경제 지표들이 잇따라 추락하고 부동산 업체들의 디폴트 도미노 현상 등 위기감이 빠르게 확산되자 중앙은행이 대규모 유동성 지원에 나선 것이다.
그래서 지금, 어떻게 되어가고 있는 거야?
이번 조치로 시장에 유입되는 유동성 규모는 총 6050억위안(약 111조원)에 달할 것으로 추산됐다. 실제 인민은행 금리 인하 발표 직후 공개된 중국 7월 실물경제 지표들은 일제히 시장 예상치를 밑돌며 부진한 흐름을 보였다.
<질문하기>
현재 중국에서 가장 디폴트선언이 일어날만한 분야가 뭐가 있지? 디폴트 선언이 일어난다면 어떻게 될까?
ㄴ 찾아본 바로는 중국의 대형 부동산 개발업체의 디폴트(채무불이행) 위기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.
<투자에 적용할 인사이트>
중국경제 침체로 아시아 이웃 나라(우리나라 포함)에 가장 큰 영향을 줄 수있다고 한다. 소비심리가 얼어붙고 있고, 실업률 증가와 부동산 업계 디폴트선언의 위기가 감도는 중이라 수출로 먹고 사는 우리나라는 더 큰 영향을 받고 있을 것이다.
이 공포로 관련된 주식은 매도세가 증가할 것이다. 이렇게 확 떨어진 주식을 싼 값에 매입해서 보유한다면, 다시금 전망이 좋아지는 시기가 올때는 이익을 볼 수 있지 않을까?
<경제시사 단어>
MLF 대출
- 중앙은행이 시중은행을 상대로 자금을 빌려주며 유동성을 조절하는 데 활용된다.
디폴트
- 기업이 이자 지급이나 원리금 상환을 계약대로 이행할 수 없게 되거나, 특정 국가가 외국에서 빌려온 차관을 계약된 상환기간 안에 갚지 못하는 상황을 지칭한다. 이때 디폴트가 발생했다고 채권자가 판단해 채무자나 제3자에게 통지하는 것을 가리켜 ‘디폴트 선언’이라고 한다.
도미노 효과(Domino effect)
- 한 사건이 유사한 사건의 사슬을 시작할 때 생성되는 효과이다. 일반적으로 연속되는 사건들 사이의 시간이 비교적 짧게 연결된 사건들의 연속을 나타낸다.